[물리천문학과 콜로퀴움] 원거리 쌍성의 특성을 통해 이뤄지는 다양한 천문학 연구

  • 전체 학생/대학원생
  • 전체 학년/전체 성별
  • 전체 학과
  • phydpt@sejong.ac.kr
  • 02-3408-3316
  • 영실관 601호
전문가 초청 특강을 통한 물리학 및 천문학의 다양한 지식의 습득과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의 자발적이고 활발한 질의응답시간을 기대합니다.
연세대학교 임동욱 박사님의 강연입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핵심역량 지수
나의 역량 지수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나의 신청내역
  • 프로그램 일정 상태 비고
세부내용

물리천문학과 콜로퀴움


‧강연 제목 :  원거리 쌍성의 특성을 통해 이뤄지는 다양한 천문학 연구 

‧연사 : 연세대학교 임동욱 박사님

‧일시 :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17:00~18:30

‧진행 방법 : 영실관 601호

‧신청 가능 대상 : 세종대학교 재학생 누구나

‧신청기간 : 5월 28일 ~ 5월 29일


‧강의 초록

두 항성간의 거리가 매우 먼 쌍성계인 원거리 쌍성(혹은 장주기 쌍성; Wide binary)은 우리은하를 연구함에 있어 흥미롭고 중요한 천체이다. 이들의 생성 과정 자체도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이들의 특이성은 우리은하 halo의 구조 연구, 기존 중력 모델의 검증, 보유하고 있는 외계행성의 특성 연구, 우리은하 형성의 왜소은하 병합 과정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Gaia 우주 망원경 미션을 통해 점점 더 많은 수의 원거리 쌍성계가 발견됨에 따라 이들의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는 이들 원거리 쌍성계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들을 구성하는 각 항성들에 대한 고해상도 분광 관측을 진행해 왔다. 대표적 연구성과 중 하나는 우리은하 형성에 기여한 Sequoia 병합 과정과 연관된 쌍성계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모 왜소은하의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이러한 원거리 쌍성계의 특성 및 우리의 이전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고해상도 분광 관측 자료를 통해서 이들 쌍성계에 대한, 더 나아가 천문학의 어떠한 연구들을 할 수 있는 지 논의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후기
  • 번호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운영기간 주역량 작성자 작성일
  • 등록된 후기가 없습니다.
상세일정 및 신청하기
  • 프로그램 일정 신청기간 신청현황
  • [물리천문학과 콜로퀴움] 원거리 쌍성의 특성을 통해 이뤄지는 다양한 천문학 연구

    ~

    부터
    까지

    0 명 / 무제한

    접수인원 제한없음

    종료